티스토리 뷰

교육심리학

다문화 - 다문화 교육

당근시져 2022. 11. 20. 10:31
반응형

다문화

 

다문화 교육의 의미

단일민족으로 여겨졌던 우리나라가 현재 다문화 사회로 변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바뀐 까닭은 외국인 근로자 집단과 국제결혼 이주민 여성의 급속한 국내 유입 때문이다. 국내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학생은 2006년 9389명에서 2017년 10만 9387명으로 급증했으며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는 다문화 교육이 범교과적 학습 주제로 포함되었다.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가 뒤섞여 나타나고 있다. 동화주의는 이주민이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포기하고 주류문화에 용해되는 것을 요구한다. 미국의 용광로 정책이 대표적인데 각 민족의 차이를 그대로 두는 것보다는 하나의 문화로 합치는 것을 이상적으로 여겨 소수민족이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버리고 주류문화에 통합되도록 돕는다. 이민자가 주류사회의 언어를 배우고 그들의 자녀가 정규 학교에 취학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비해 다문화주의는 한 국가 안에서 소수자들이 그들의 고유한 문화를 지켜 가는 것을 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둔다. 다른 문화, 언어, 종교를 인정하고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하며 이러한 모형은 샐러드 볼 이론이 대표적이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다. Banks는 다문화 교육을 인종, 민족, 계층, 문화 집단의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한다. 다문화 교육은 다원화된 민주사회에서 효율적으로 가능하고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고 협상하고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태도 기능을 습득하여 시민공동체를 돕는 것에 집중한다. Bennett는 다문화 교육에 대해 평등 교육을 목표로 교육과정 개혁을 통하여 주류집단과 소수집단의 모든 사람이 다문화적 능력을 양성하여 사회정의 실현에 참여하도록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한다. 다문화 교육은 소수집단만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상호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도록 하는 교육이다. Banks는 다문화 교육에 내용 통합, 지식 구성 과정, 편견 감소, 공평한 교수법,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는 학교문화와 조직의 다섯 가지 차원이 있다고 제안한다.

- 내용 통합 : 교사들이 자신의 교과나 학문 영역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 원칙, 일반화,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다양한 문화 및 집단의 사례, 자료, 정보를 가져와 활용하는 정도를 지칭한다.

- 지식 구성 과정 : 특정 학문 영역의 암묵적인 문화적 가정, 준거 틀, 관점, 편견 등이 해당 학문 영역에서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의미한다. 교사는 학생에게 지식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그것이 개인과 집단의 인종·민족·성·사회계층과 같은 지위에 의해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 편견 감소 : 학생들의 인종적 태도의 특징 및 그것이 교수법이나 교재에 의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다.

- 공평한 교수법 : 교사가 다양한 인종, 민족, 사회계층 집단에서 온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수업을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여러 문화적·인종적 집단 내에 존재하는 독특한 학습양식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수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는 학교 문화와 조직 : 집단 구분과 낙인의 관행, 스포츠 참여, 성취의 불균형, 인종과 민족 경계를 넘나드는 교직원과 학생의 상호작용 등은 학교문화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 집단 출신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학교문화 창조를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다문화 교육의 다섯 가지 차원 중 대부분의 교사가 내용 통합의 영역에만 익숙하다. 하지만 교사가 신념이 지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생이 이해하도록 돕고 편견을 줄이고 모든 학생의 학습과 발달을 지원하는 학교 내의 사회구조를 만들고 모든 학생에게 다가갈 수 있는 교수법을 사용하는 것의 다른 네 가지 차원을 고려한다면 이런 다문화 교육의 관점이 모든 과목과 학생에게 적합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Bennett는 다문화 교육이 평등교수법, 교육과정 개혁, 다문화적 역량, 사회정의를 향한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평등교수법은 소수민족이나 경제적으로 불리한 조건에 있는 아동을 포함하여 모든 학생에게 공평하고 균등한 교육 기회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과정 개혁은 단일민족 중심적인 관점에서만 기술되었던 기존의 교육 내용에서 다민족 적이고 전 지구적인 관점을 포함하여 전통적인 교육 내용을 확장하려는 것이다. 다문화적 역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하고 생각하고 평가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국 내에서 또는 국가와 국가 간에 존재하는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사회정의를 향한 교육은 학생에게 인종차별주의나 성차별주의, 계급 차별주의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하고 그와 관련된 적절한 태도와 사회적 행동 기술을 발달시킴으로써 차별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에 헌신적으로 참여하도록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 교육과 국제이해 교육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데 다문화 교육과 국제이해 교육은 그 목표나 강조점, 내용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제이해 교육은 국가 간의 공존을 추구하는 평화교육을 목표로 하며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환경, 인권, 기아 문제 등을 함께 해결하고 세계 시민으로써 생활하는 데 필요한 기능 및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다문화 교육은 평등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인종, 성별, 사회계층과 관련된 다양한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평등의 가치를 인식하고 편견과 선입견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도록 돕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은 국제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세계 각국의 민족 문화를 가르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과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시민을 길러내도록 하는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