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동기화 이론
자기 결정성 이론
자기 결정성 이론은 개인의 인지·사회적 발달, 개인차에서의 내재·외재동기의 원인, 역할을 설명하는 이론이며 사회문화적 요인이 개인의 의지와 주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한다. 자기 결정성은 환경에 대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를 스스로 결정하는 것으로 개인의 의지를 사용하는 과정이다. 인간은 외부의 힘으로 통제받기보다는 스스로 결정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기본 가정으로 내재동기의 기초에 기본 심리 욕구가 있으며 이 욕구들이 학습, 성장, 발달을 위한 동기를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인간은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세 가지 기본 욕구를 가지고 있고 이 욕구들을 충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세 가지 욕구는 개인의 환경에서 지지가 될 때 개인의 학습 성장, 발달에 내재동기를 제공한다. 학생은 학업 상황에서 스스로 유능함을 느끼기를 원하고 스스로 공부할 것을 결정했다고 느끼고 싶어 하며 가장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관계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 받고자 한다.
- 자율성 욕구는 자기 결정성 이론의 핵심으로 인간이 외적인 보상이나 압력보다 자신의 원하는 것에 따라 행동하려는 욕구이다.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자신에게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을 결정하기를 원한다. 사람들은 삶 속에서 외적인 압력에 시달린다. 선택의 기회가 많고 의사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개인은 자율성을 지각하게 된다. 자율성 확보는 내재적으로 동기화되는 데 필수적이어서 하고 싶은 공부를 원할 때 원하는 방식으로 하게 되면 자기 결정적이게 되며 내재적으로 동기화된다.
- 유능감 욕구는 인간이 누구나 능력이 있는 사람이기를 원하고 자기 능력이나 재능을 향상하기를 원하는 욕구이다. 유능감 욕구는 Maslow의 욕구 위계에서 지적 성취 욕구, 사회인지 이론에서 자기 효능감과 유사한 개념이다. 유능감은 ‘내가 과연 이 과제를 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자신이 그 과제를 얼마나 잘하는가, 다른 학생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잘하는가, 다른 활동과 비교했을 때 그 과제를 잘하는가에 대한 인식에 의해 형성된다. 자기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학습자는 유능감이 높다. 유능감 욕구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 능력을 사용하고 성취하는 경험을 할 때 충족된다.
- 관계성 욕구는 다른 사람과 정서적 유대와 애착을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관계성 욕구는 내재동기와 직접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외적 원인을 내재화하는 데 중요하며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활동에서 내재동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선생님과 부모와 안정적인 관계를 가질 때 아동은 높은 내재동기를 가지며, 부모, 선생님, 친구들에 대한 관계성 욕구를 충족한 아동은 학교 활동에 더욱 몰입한다. 관계성 욕구는 Maslow의 욕구 위계에서 소속감과 애정의 욕구와 유사하다.
학생의 자기 결정적인 학습은 학업성취뿐 아니라 학습활동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렇다면 학생이 자기 결정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자율성이 존중받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자기 결정성과 자율성이 지지가 되는 학업 상황은 학생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유능감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개념학습과 도전을 즐기게 되는 것과 관련되며 이 현상은 초등학교에서 대학원까지 일관성 있게 나타난다. 부모나 교사가 학생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인 교육환경은 내재동기를 훼손한다. 통제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내재동기와 성취를 저하한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시하고 학생의 학습을 간섭하며 비판적이거나 의견을 내지 못하게 하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여 무동기를 유도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고 행동하도록 권장하고 학생들에게 왜 학습활동이 필요하고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하며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내재화하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경험을 하는 것은 학습자의 유능감을 높인다. 유능감은 실제 경험에서 성공하는 경우가 많았을 때 높아지며 유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과제를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므로 열심히 노력한다. 유능감은 초등학교 학생에게는 매우 높지만 중·고등학교로 성장하면서 점점 낮아지며 이러한 현상은 여러 나라에서 범문화적으로 나타난다. 아동이 자신이 받는 피드백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또래와 사회적 비교를 하면서 자신에 대한 평가를 더욱 정확하게 하기 때문이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경쟁이 심화하고 부정적인 피드백도 받게 되면서 자기 능력에 대한 지각이 부정적으로 되어 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는 중·고등학교로 성장하면서 학습자가 성공을 경험할 기회를 지속해서 제공하여 학습자가 유능감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셋째 친밀한 사회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른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관계성 욕구를 충족함으로써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부모나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관계는 학생이 부모나 교사가 기대하는 바를 수행하려는 동기를 유발하게 되며 자신이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가치를 내면화하게 한다.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위해 협동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협동학습은 학습자가 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또래로부터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을 기회가 된다. 따라서 협력적이고 서로 배려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화 - 귀인이론 (0) | 2022.12.09 |
---|---|
동기화 - 목표 지향성 이론 (0) | 2022.12.07 |
동기화 - 동기화 이론 (행동주의 강화이론, Maslow의 욕구 위계) (0) | 2022.12.02 |
동기화 - 개념 및 역할 (0) | 2022.11.30 |
인지주의 학습이론 - 학습전략, 학습의 전이, 교육적 시사점 (0)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