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사의 자질
교사효능감
교사 전문성의 지식, 신념, 기술의 세 가지 차원은 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고 결정하기 위해 모두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훌륭한 인성을 가진 인간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교사로서 능력에 대한 신념이 가장 중요한데 이것을 교사효능감이라고 한다.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성별, 학력, 교직 경력,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집단적 교사효능감, 학교조직 풍토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교직 경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는 일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어떤 연구에서는 정적 선형관계이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곡선 관계를 보고한 경우도 나타난다. 곡선 관계인 경우는 초임 교사 때 낮은 교사효능감이 경력이 쌓이면서 점점 증가하다가 정년이 다가오면서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교사의 연령 증가와 함께 생리적·심리적 변화의 진행 때문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직 경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연구에서는 교직 경력의 범위를 어떤 간격으로 분류하여 비교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범위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초임 교사부터 교직 경력 10년까지는 교사효능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그 후로는 그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Goddard는 집단적 교사효능감이란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실행하는 교직원 전체의 지각이라고 정의하였다.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둘 간의 상관이 중간 정도로 나타난다고 보고한다.
교사효능감은 교사 개인의 다양한 정서나 행동에 관한 유의미한 예측 변인이면서 동시에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교사효능감의 학생의 학업과의 관련성에 대한 대표 연구는 Ashton과 Webb의 연구이다. 그들은 교사 변인이 학생의 성취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교사효능감이라고 하고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으로 구분한다.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가르치는 행위에 대한 효능감으로 학생들을 가르쳐서 학업성취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교사의 지각을 말한다.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자신의 가르치는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 이렇게 두 차원으로 교사효능감을 구분하는 이유는 각각 서로 다르게 교사의 행동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학생의 실패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 원인을 학생의 외부 요소로 돌리기 때문에 교사는 책임감을 느끼지 않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반면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학생의 실패에 대해 개인적 책임감을 느끼고 자기 능력 부족을 인정하여 스트레스, 죄책감, 수치심 등을 경험하게 된다.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는 많은 곳에서 차이를 보인다. Ashton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주제통각검사를 실시하여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 간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학생을 가르치는 직무가 중요하고,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며 교사 자신이 학생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여 개인적인 성취감을 느낀다. 또한 학생이 발전하기를 기대하며 대부분의 학생이 기대를 충족해 준다고 본다. 학생의 학습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감을 가지면서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교수 방법을 검토한다. 목표를 정할 때도 자신과 학생에게 민주적인 방법으로 알맞게 설정하여 성취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며 학생과 교사 자신에게 긍정적인 생각을 하여 교사 스스로 학생의 학습에 영향력이 있다고 확신한다.
반면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가르치는 일에 대해 자주 실망하고 좌절하며 학생이 실패할 것을 예상하지 못하며 수업에 노력하지 않는다. 교사는 학생의 학습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기는 하지만 실패의 원인을 학생 개인이나 환경 탓으로 돌린다. 교수·학습에 대한 목표와 전략을 세우지 않으며 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학습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의 경우 교사효능감이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자신의 수행이 적절하다고 느끼며 자기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므로 교사효능감이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의 포부 수준이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경우는 교사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낮은 성취도를 가진 학생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학습 능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외재적으로 동기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에게 교사의 낮은 기대감을 전달하여 학생의 외적 동기 유발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의 자질 - 교사 기대의 부정적 효과 피하기와 칭찬 (0) | 2022.12.17 |
---|---|
교사의 기대 - 교사의 기대 효과 자기 충족적 예언과 기대 유지 효과 (0) | 2022.12.14 |
교사의 자질 - 교사 전문성 (0) | 2022.12.10 |
동기화 - 귀인이론 (0) | 2022.12.09 |
동기화 - 목표 지향성 이론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