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교사의 자질

 

교사의 기대

기대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학기 초 학생의 지난해 성적이나 이전 담임교사가 쓴 생활기록부와 같은 객관적 자료 또는 학생의 외모, 옷차림, 행동 등으로 교사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학생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사의 기대효과는 두 가지 종류로 학생에게 영향을 미친다.

 

교사의 기대효과 자기 충족적 예언과 기대 유지 효과

교육 현장에서 교사 기대에 관한 관심이 시작된 것은 Robert Rosenthal과 Lenore Jacobson의 [교실에서의 피그말리온]이다. Rosenthal과 Jacobson은 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비언어적 지능검사를 실시하고 교사에게는 학력검사라고 소개하였다. 검사를 실시한 후 학급마다 학생 수의 약 20%에 해당하는 학생 명단을 교사에게 주면서 명단에 포함된 학생은 엄청난 지적 성장을 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그 명단은 무작위 추출법으로 뽑힌 명단이었다. 8개월 후 이 학교에서 똑같은 비언어적 지능검사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 교사에게 주어진 명단 속의 학생은 지적 성장을 보였다. 50여 년 전에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Rosenthal과 Jacobson의 연구는 교사의 자기충족적 예언을 증명한 것이다. 자기충족적 예언이란 사실은 아니지만 실현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노력한다면 결국 원래의 기대가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학생에게 큰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면 그들을 자극하고 격려하는 방법으로 다루게 되어 교사의 기대가 실현된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다음 교사의 기대효과는 기대 유지 효과이다. 이는 교실에서 자주 발견되는 현상으로 교사는 처음에 학생의 능력을 여러 측면에서 측정하여 정확히 판단하고 그에 맞추어 학생에게 반응한다. 수업이 진행되면서 이러한 교사의 행동에는 문제가 없지만 학생이 향상을 보였을 때 교사가 학생의 향상 정도에 맞추어 기대를 수정하지 않았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교사의 바뀌지 않는 기대는 학생의 성취를 교사의 기대 수준에 머물게 하기 때문에 이것을 기대 유지 효과라고 한다. 기대유지 효과가 작용하면 교사의 적절한 수업 제공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성취를 격려할 기회가 줄어든다. 실제로 기대 유지 효과는 자기 충족적 예언 효과보다 흔하게 발생한다.

Thomas Good와 jere Brophy는 교사의 기대효과 형성과정을 다음과 같이 보여준다.

첫째 교사는 특정한 학생에게 특정 행동과 높은 성취를 기대한다.

둘째 기대 때문에 교사는 각각의 학생에게 다르게 행동한다.

셋째 교사 각각의 행동은 학생에게 교사가 다른 행동과 성취를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전달한다. 그리고 교사의 학생에 대한 각각의 다른 취급은 학생의 자아개념, 성취동기, 포부 수준 등에 영향을 준다.

넷째 교사의 학생에 대한 각각의 다른 취급이 지속되고 학생이 교사의 취급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거부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의 성취 수준과 행동은 교사가 해당 학생에게 처음 기대했던 수준에 밀접하게 접근한다.

교사는 다양한 요인에 근거하여 학생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게 된다. 가정 배경, 신체적 특성, 누가기록 정보, 수업 태도, 성격특성 등은 학생에 대한 기대 형성의 핵심적인 정보원이 될 수 있다.

Brattesani과 Weinstein의 연구에서는 교실에서 학생에 대한 교사의 지각이나 기대가 매우 중요함을 입증했다. 특히 교사의 지각이나 기대는 학생 개인에 대한 단순한 예언 문제가 아니라 다른 학생과의 차별로 나타날 때 문제가 심각해진다는 것을 연구에서 입증하고 있다. 학생의 내재적 동기 형성이나 학습 태도 및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교사의 그러한 차별성 있는 지각과 기대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정서적 표현이나 반응에서도 차이를 가져오며 결과적으로 학생의 학습 성패의 귀인과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성적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모든 차이가 교사의 기대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어떤 교사는 학생에 대해서 기대를 형성하고 있지 않으며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학생에게 전달되지 않는 한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학생의 개인차도 교사의 기대와 일치하는 결과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Brophy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타인 지향적인 학생일수록 교사에게 의존적이고 교사를 많이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교사의 기대에 더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