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의 측정 및 검사점수의 의미 인간의 지능은 직접 측정하여 간단한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에게서 보이는 외현화된 행동을 관찰하여 추론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신뢰도가 아무리 높은 검사 도구라 할지라도 한 개인의 지능을 정확하게 측정해 줄 수 있는 검사는 없다. 개인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같은 검사의 결과도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인간의 동기, 상황과 같은 각종 변수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지능검사이기 때문에 우리는 지능지수에 대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는 1905년 프랑스의 심리학자인 Binet와 그의 동료 Simon이 개발한 지능검사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들은 정규교육과정에서 뒤처지면서 정규과정과는 구별되는 특수한 지도..
지능이론 다중지능이론 다중지능이론이란 지능은 하나의 일반능력이나 서로 분리된 몇 개의 상이한 정신 능력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별개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론으로서 Gardner와 Sternberg가 이러한 관점에서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1.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Gardner가 주장한 다중지능이론의 전제는 모든 학습자는 서로 다른 능력과 흥미, 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학습자의 능력 및 동기를 고려한 교수-학습법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Gardner는 자연스러운 교수-학습 현장에서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인위적 과제를 해보도록 하여 인간의 지능을 판단하는 전통적인 지능검사 방법의 타당성에 대하여 진지하게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의 이론은 전통적인..
지능의 의미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영역은 크게 발달과 개인차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개인차란 학습자에게서 보이는 다양한 차이를 의미하며 개인차 연구란 각 개인에게 내재한 다양성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기준을 찾기 위한 연구를 의미한다. 지능 관련 연구는 이러한 개인차 연구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19세기 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의 Francis Galton은 감각 식별 능력이 인간의 지적 능력과 관련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감각 기능의 개인차를 측정하고자 심리측정실을 개설하였다. 그는 천재 가문, 천재로 인식되는 가족 구성원이 더 많은 집에서 태어난 아동을 다른 가문에서 양육하였을 때도 그들의 천재성이 지속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관심과 연구가 곧 지능의 개인차..
도덕성 발달 도덕성 발달은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인본주의, 인지주의 접근에서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Freud는 정신분석 이론에서 남근기에 자신의 욕망과 충동을 억누르고 부모의 행동이나 가치 기준을 내면화하면서 초자아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도덕성 발달로 본다. 여기서 도덕성은 성인의 가치관을 말한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다른 행동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도덕성 발달을 설명한다. 도덕적 행동은 주위 사람과 행동 사이에 연합된 양적 결과 혹은 행동에 대한 강화나 벌의 결과 그리고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에서 모델링을 통해 설명되고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는 어떤 행동이 도덕적인지 학습자와 관계없이 이미 사회나 집단에 의해 정해져 있다. 인본주의에서 Neill이나 Rogers가 정신분석학이나..